반복영역 건너뛰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접속하기
회원가입
English
수목원안내
수목원안내
산림생물종 보전 및 자원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합니다.
수목원 안내도
관람안내
관람안내
자주하는질문
예약하기
예약하기
예약안내
예약확인·취소
예약및관람문의
전시원
산림박물관
편의시설
걷고싶은길
촬영허가안내
생물정보
생물정보
산림생물종 보전 및 자원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합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산림생물상담소
보유식물
한국의특산식물
한국의희귀식물
교육
교육
산림생물종 보전 및 자원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합니다.
수목원교육 소개 및 안내
수목원교육 프로그램
개인신청 프로그램
기관신청 프로그램
특별기획 프로그램
박사후 및 석사후 연수과정
연구
연구
산림생물종 보전 및 자원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합니다.
연구
산림생물종연구(R&D)
정원산업기반구축(R&D)
광릉숲생물상
광릉숲생물상 소개
천연기념물
식물상
포유동물상
조류상
곤충상
균류상
선태식물
산림생물표본관
표본관소개
표본관 이용안내
표본관 링크
표본검색
종자은행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DMZ자생식물원
식물세밀화
식물도서실
연구간행물
Index Seminum
알림마당
알림마당
산림생물종 보전 및 자원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합니다.
공지ㆍ공고
알림
공고
입찰
채용
행정예고
보도자료
수목원의 오늘
수목원영상
웹진
정보공개안내
정보공개안내
비공개대상세부기준
예규 및 훈령
자원봉사신청
수목원가족되기
쉬운 우리말 사전
기관소개
기관소개
산림생물종 보전 및 자원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합니다.
국립수목원소개
소개
수목원현황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원장소개
원장인사말
원장약력
역대원장
업무추진비내역
조직ㆍ직원
조직도
직원찾기
연혁
비전ㆍ미션
기관문양 소개
고객서비스헌장
정책및행정사항
국립수목원 완충지역 협의기준
국립수목원 완충지역 편입토지 내역
찾아오시는길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수목원안내
수목원 안내도
관람안내
관람안내
자주하는질문
예약하기
예약하기
예약안내
예약확인·취소
예약및관람문의
전시원
산림박물관
편의시설
걷고싶은길
촬영허가안내
생물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산림생물상담소
보유식물
한국의특산식물
한국의희귀식물
교육
수목원교육 소개 및 안내
수목원교육 프로그램
개인신청 프로그램
기관신청 프로그램
특별기획 프로그램
박사후 및 석사후 연수과정
연구
연구
산림생물종연구(R&D)
정원산업기반구축(R&D)
광릉숲생물상
광릉숲생물상 소개
천연기념물
식물상
포유동물상
조류상
곤충상
균류상
선태식물
산림생물표본관
표본관소개
표본관 이용안내
표본관 링크
표본검색
종자은행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DMZ자생식물원
식물세밀화
식물도서실
연구간행물
Index Seminum
알림마당
공지ㆍ공고
알림
공고
입찰
채용
행정예고
보도자료
수목원의 오늘
수목원영상
웹진
정보공개안내
정보공개안내
비공개대상세부기준
예규 및 훈령
자원봉사신청
수목원가족되기
쉬운 우리말 사전
기관소개
국립수목원소개
소개
수목원현황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원장소개
원장인사말
원장약력
역대원장
업무추진비내역
조직ㆍ직원
조직도
직원찾기
연혁
비전ㆍ미션
기관문양 소개
고객서비스헌장
정책및행정사항
국립수목원 완충지역 협의기준
국립수목원 완충지역 편입토지 내역
찾아오시는길
메뉴 닫기
홈으로
수목원안내
생물정보
교육
연구
알림마당
기관소개
산림박물관
수목원 안내도
관람안내
예약하기
전시원
편의시설
걷고싶은길
촬영허가안내
프린트하기
수목원안내
수목원 안내도
관람안내
관람안내
자주하는질문
예약하기
예약하기
예약안내
예약확인·취소
예약및관람문의
전시원
산림박물관
편의시설
걷고싶은길
촬영허가안내
보조메뉴 닫기
산림박물관
관련문의
전시교육연구과 김창준
031-540-1042
소개
제1전시실
제2전시실
제3전시실
제4전시실
제5전시실
특별전시실
소장품
산림박물관 소개
전통한옥
전통한옥
산림박물관 전경
산림박물관 전경
산림박물관 내 구조물
산림박물관 내 구조물
박물관 외부 전경
현관 입구 천장은 낙엽송 간벌재를 집성하여 구조물을 만들어 간벌 소경재 이용의 좋은 사례로 보여주고 있다.
입구 산림박물관 표석은 경남 산청군 시천면 동당리 하천에서 수집한 화강암에 음각하였으며 “□”자형 건물의 중정에는 암석 표본 34종을 전시하였다.
전시실배치도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3.6/5
]
만족도조사선택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