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한반도 특산식물의 종분화 및 기원연구(2014-2025)

연구목적
  • 한국 주요 특산식물의 유전자적 특성 구명을 통한 종분화 및 기원 파악
  • 한국 특산식물의 주권강화를 위한 고유 유전정보 확보
  • 특산식물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정립 및 기초정보 마련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한반도 식물의 진화 및 종분화 구명
  • 한반도 특산식물의 유전체 지도 완성 및 표준기술 개발
  • Megadata를 이용한 한반도 식물 계통유전체 분석 및 기원 구명
  • 특산식물의 분류체계의 확립 및 계통진화학적 유연관계가 밝혀짐으로써, 향후 근연분류군과의 계통학적 연구수행에 비교자료로 이용

한반도 특산식물의 분포와 변화 예측 연구(2023-2027)

연구목적
  • 특산식물을 대상으로 자생지 분포와 생육환경 자료를 활용하여 종의 실체에 대한 접근, 그리고 분포와 생육 조건에 기초한 생태지리학적 성질과 환경 조건에 대한 자료의 구축이 필요
  • 특산식물의 실체와 생태 환경 자료에 기초한 잠재 서식지와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 서식지의 변화 예측 자료를 통한 보전 관리 지식의 구축 필요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국가기후변화적응전략 대응 현지외 보전기관별 맞춤형 식물 보전전략 수립을 위한 객관적 자료 제공
  •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자연환경 변화 모니터링과 생태계 변화 연구 등에 대한 유용한 기초자료 제공
  • 잠재서식지 분포 데이터는 미래 기후변화에 취약한 식물종과 한반도 특산식물의 현지 내·외 보전 관리방안 수립 및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국가보고서(산림식물 분야) 등에 활용
  • 기후변화에 따른 특산식물의 잠재분포 예측 자료를 바탕으로 자생식물의 대량증식 적지 선정 등에 활용

산림생태계 보전을 위한 화분매개곤충 특성연구 Ⅰ. 벌목 중심 화분매개 네트워크 정보 구축(2023-2027)

연구목적
  • 제6차 신림기본계획(`18~`37)에 따른 산림생물다양성의 지속적 관리기반 구축을 위한 화분매개충 변동 장기모니터링 계획 수립
  • 산림 생태계 내의 생태계 균형을 이루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분매개 곤충의 보존을 통한 산림생물다양성 감소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 구축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화분매개 상호관계 구명과 변동 분석을 통한 산림생태계 건강성 파악
  • 화분매개곤충의 효율적인 보호방안 수립을 위한 기반 구축
  • 국내 수목원·식물원의 식물-화분매개곤충 수분네트워크 자료 제공
  • 경제적으로 파급력이 큰 화분매개곤충의 산업화를 위한 분류 및 생태학적 정보 제공
  • 위협에 처한 화분매개곤충의 보존을 위한 보호 및 복원 방안 제시

기후변화 영향 예측 고도화를 위한 식물계절 관측 기법 표준화 연구(2024-2028)

연구목적
  • 식물계절현상 관측기법 기술 고도화를 통한 식물계절현상 변화에 대한 표준화 및 기준 마련
  • 산림 내 자생식물의 식물계절현상과 생태 기능 변화 및 변동 추세 예측
  • 국민 참여형 시민과학 운영을 통한 관측망 확대 및 대국민서비스 발굴
  • 식물계절현상에 대한 지속적 자료 축적을 통해 산림자원 보전 및 관리의 기준마련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표준지침서 개발을 통한 식물계절 모니터링 결과물의 일관성 확보
  • 전문가 및 시민과학자 간 일관성 있는 식물계절 관측 결과 획득
  • 시민과학자 참여를 통한 식물계절현상에 대한 관측망 확대 및 산림지역과 도심지역간의 식물계절현상 비교 분석

광릉숲 비교 연구를 위한 천이 초기 서식지의 다양성 변화에 관한 연구(2016-2025)

연구목적
  • 광릉숲 BR의 산림 서식지에서 목재 수확 영향에 의한 식물다양성과 형질의 유연성 및 관련 미생물 군집의 변화 특성을 구명
  • 광릉숲 유령림(조림지)에서 수목의 다양성 및 구조의 변화 과정의 단기(10년 이내) 관찰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광릉숲 BR에서 산림 이용 후 시작되는 임분 발달 초기 서식지에서 가장자리 효과를 비롯한 산림식물 개체군과 군집의 구조와 기능변화·적응 과정을 구명
  • 식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교란이 산림생물군집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 구축
  • 친환경 벌채, 간벌 등 작업기법에 대한 효과 평가를 수행하여 관련 산림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

광릉숲·시험림 산림생물종의 동태 및 환경 적응성 평가(2018-2027)

연구목적
  • 한국 낙엽성 참나무림 생물군집의 구조 및 기능의 특성과 중기 이상의 변화 과정(동태, dynamics)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
  • 서식지 구조와 질, 그리고 환경 경사(해발 및 강수량)에 따라 식물종과 식물군집이 발현하는 형질[trait (생리, 기능)], 다양성, 생물 상호작용 특성을 광릉숲을 기반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상호 비교하여 고유의 적응·진화 양상을 구명
  • 광릉숲 지역과 같은 특수 보호구역에서 산림생물다양성 목록을 축적하고, 변화를 영구히 관찰하여 보전 관리에 필요한 종합정보 제공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산림 중 가장 강력한 우점 식생인 낙엽활엽수림의 중기(15년 이상) 수준의 동태 과정을 면밀히 기록할 수 있고, 이러한 기초 동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 생태계 기능의 고유성 및 이질성 변화의 이해도를 향상시키며, 산림 건강성 평가틀을 제공
  • 한국의 핵심 보호구역인 광릉숲·시험림의 산림생물다양성을 목록화하며 변화 양상에 대한 영구적 기록물을 생산

DMZ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점관리종 개체군 특성 및 참조식생 유형화 연구(2023-2027)

연구목적
  • DMZ 및 접경지역 중점관리종의 자생지 및 생육정보 수집과 분석을 통한 현지내외 보전·관리방안 마련
  • DMZ 및 접경지역 훼손된 산림생태계 및 참조 식생 유형화를 통한 생태복원 기반 구축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DMZ 및 접경지역 산림식물 및 산림 보전의 거점기관으로서 역할을 강화
  • DMZ 및 접경지역 산림복원 소재식물 및 식생조성 정보 구축으로 역할 차별화
  • DMZ 보전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생물자원 기반 협력사업 추진 기반 구축
  • DMZ 및 민북지역 산림관리 종합계획 및 복원 계획 수립 지원
  • DMZ 생물종 보전을 위한 정기적인 조사 및 보전계획 수립에 대한 법제화
  • 국가를 대표하는 DMZ 생물종 및 생태 정보 플랫폼 구축

산림 생태복원을 위한 소재식물 종자 생산체계 구축(2023-2027)

연구목적
  • 산림 생태복원을 위한 자생식물 생산 및 공급체계 구축을 위하여 복원용 종자 수집 및 생산, 관리 기준을 제시
  • DMZ 및 접경지역의 시드존 연구를 통한 소재식물의 유전다양성 보전 및 적응성 확보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산림생태복원의 실현을 위한 자생식물 종자 생산 및 공급체계 구축기반 확립
  • 자생식물의 복원소재 공급 기반 확립으로 자생식물의 활용범위 확대에 기여
  • 생물다양성협약 등에서 목표로 하는 생태계복원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

전시원내 생물학적 유해인자 친환경 제어기술 개발(2024-2028)

연구목적
  • 기후위기 대응 수목원·식물원 글로벌 아젠더 달성을 위한 생물학적 유해인자 제어 기회 마련
  • 국립수목원 중심으로 국내 수목원·식물원 내 식재 식물에 대한 병충해 감시 및 방제 기술 개발
  • 국제식물감시네트워크(International Plant Sentinel Network, IPSN) 가입을 통한 국내외 식물원·수목원 병충해 정보 공유 및 기후변화 대비 병해충 관리 국제적 공동 대응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수목원·식물원 식재·보유 식물 병해충 모니터링을 통한 병충해 발생시기 양상 모니터링 및 목록화, 방제기술 개발 지원
  • IPSN과 KBCN의 범위안에서 잠재적 병해충 판단 정보 공유
  • 병해충 방제 모니터링 매뉴얼 및 기술개발로 수목원·식물원, 유사 기관의 식물보전 안정성 확보
  • 목질계 바이오매스 활용 기술 개발을 통한 탄소중립 실천 역량 강화 기반 구축
  • 지속가능한 생물학적 유해인자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광릉숲의 생태적 수용력을 고려한 장수하늘소 보전 연구(2020-2024)

연구목적
  • 장수하늘소(천연기념물 제218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는 동물지리구의 하나인 구북구지역(Palearctic region)에서 가장 크고 긴 생활사를 가진 국내 주요 보호종
  • 국내에서 시도되지 못하였던 유용 대형 산림곤충 종에 대한 응용연구를 추진하고 국내 산림곤충 종 복원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여 유용 산림곤충 종·서식지 보전과 함께 국내 곤충산업 발전에 기여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장기적인 장수하늘소 연구추진으로 광릉숲 서식 곤충 및 종 복원 연구 기반 확보
  • 한국산 장수하늘소 전체 유전체 분석을 통한 정체성 확보 및 장수하늘소를 포함한 국내 유용한 희귀·대형 곤충 종 보전을 위한 산림청 정책 반영

산림 유용자원식물 지속적 활용 기반 구축을 위한 증식기술 개발 연구(2021-2025)

연구목적
  • 산림유용식물의 자원 보존과 활용 확대를 위한 최적 증식 및 육묘 기술개발
  • 자생 식물자원의 증식 고도화 및 확산을 통한 활용기반 구축
  • 산림 유용식물의 표준 증식 및 육묘법 모델화 지침 마련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국가 생명자원 원천 산림 식물자원 보존 및 안정적 확보
  • 국내 자생식물 활용가치 제고를 위한 증식기술 고도화
  • 식물자원 효율적 활용을 위한 증식기술의 보급 및 기술이전
  • 국내 조경 및 관상용 소재의 자생식물 활용을 통한 재배농가 소득 창출
  • 기후변화 대응 국가 식물자원의 전략적 보전 및 관리체계 구축

산림복원 자생식물 종자의 수집 및 품질 인증체계 기반 마련 연구(2022-2026)

연구목적
  • 한국 자생식물을 활용한 산림 훼손지 복원 소재 식물 종자의 유전 정체성 검증 기반 마련
  • 산림복원 소재 산림 식물 종자의 수집 및 형태적·유전적 다양성 비교 연구를 통한 품질인증체계 마련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산림복원 소재 자생식물 종자의 육안 및 유전자 분석자료 제공
  • 자생식물 종 및 인접국 분포 근연종 간의 비교 기초자료 제공
  • 국가의 생물다양성 현지 외 보전 증진

북한식물자원 수집 및 보전기반 구축 연구(2022-2026)

연구목적
  • 북한식물의 보전을 통한 온전한 한반도 식물 통일
  • 북한지역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증가에 따른 북한식물 보전 및 복원 기반 구축
  • 북한식물의 체계적인 자료구축, 보전 활용을 통한 국내 유일의 북한식물 연구 및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
  • 북한식물의 활용한 증식, 재배기술 개발을 통한 산업화 소재발굴
  • 북한식물 전시회, 전시원 조성을 통한 홍보 기능 강화 및 보전가치 인식확산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북한식물자원 보전을 통한 한반도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
  • 북한식물 현지외 보전기술 개발을 통한 보전가치 인식확산
  • 기후변화 대응 국가 식물자원의 전략적 보존 및 관리
  • 북한식물 연구를 통한 정보 구축 및 자원 확보
  • 북한식물을 활용한 증식 및 재배기술 개발을 통한 자원화 소재발굴
  • 북한식물 Virtual herbarium, online flora 등 북한식물 다양성 플랫폼 구축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 평점 4/5 ]
만족도조사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