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어른이 된 황다리독나방
  • 등록일2010-06-14
  • 작성자0 / 박소라
  • 조회1309
5월 어느 날, 층층나무의 초록 잎 중간에 기지개를 쫙 펴고 오롯이 누워있는 애벌레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 몸 색깔이 예사롭지 않아 누구라도 한 번 보면 잊지 못할 생김새를 지녔습니다. 그리고 요즘, 흰 날개를 흔들거리며 손으로 보는 식물원을 제 집인냥 활보하는 작은 녀석들이 있습니다. 황다리독나방입니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투명한 흰 날개가 눈에 잘 띄지 않아 전의 그 애벌레가 이렇게 자라났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그 때는 유독 그 나무 잎파리에서만 자리를 잡고 앉은 애벌레들이 신기했습니다. 그런데 그 곳이 그 녀석들 집이었다 합니다. 황다리독나방의 애벌레들은 알에서 깨어나면 층층나무 잎을 송편처럼 접어 그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몸에 비해 몇 배는 커다란 잎을 돌돌 말아 먹이창고로도 사용한다니 이 나방, 집 짓는 솜씨가 여간 대단한 것이 아닙니다. 그 때의 야무진 애벌레들이 손으로 보는 식물원에서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막 번데기를 뚫고 나와 날 준비를 하기 위해 날개를 파닥거리는 모습이 위태로웠습니다. 곤충들이 우화하는 모습은 언제 봐도 경이롭습니다.

황다리독나방은 그 애벌레가 층층나무 잎을 갉아먹는다 해서 해충이라 들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해충'의 잣대는 사람들의 생각의 잣대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고기를 먹거나, 채소를 먹는 것처럼 곤충들이 나뭇잎이나 버섯, 다른 곤충을 먹는 것도 똑같은 생활방식일 뿐인데 말입니다. 그래도 식물을 생각해서 한 우물만 파고 있으니 고마운 일입니다. 사람과 자연은 서로 주고 받으며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주고받음'이 항상 플러스요인이 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니 해충이랄 것도 독충이랄 것도 없습니다. 단지 수많은 시간 다른 터전에서 살아온 사람과 곤충과 식물의 생존전략이 다를 뿐이겠지요.
카테고리
 
키워드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