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답변 : 화성시 반도체공장 둘레길 사이로에 식재된 왕벚나무, 산딸나무 집단 고사 이유..?
  • 등록일2024-06-05
  • 작성자 국립수목원 수목원과 / 김성식 / 031-540-2080
  • 조회18
안녕하십니까, 남서현님!.
우리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성원을 보내주신데 대하여 감사드리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아래와 같이 회신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왕벚나무, 산딸나무가 고사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A. 나무들이 고사하는 이유는 매우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가장 간단하게 답변드리면, - 첫 번째, 우선 이식시기가 늦어 잎이 개엽된 후에 이식하였을시 집단적인 고사 원인이 되고, 특히 산딸나무의 경우 이식이 곤란한 수종중에 한 종류입니다.
- 두 번째, 나무를 이식할 때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작업이 진행되지 않아 나무를 취급(끈에 달아 옮기거나 상차차시 나무에 무리(끈을 잘못 매어 수피가 나무 속과 분리(박리)되어 겉보기는 멀쩡하나 이미 껍질이 벗겨진 상태)가 있었을 수 있고,
- 세 번째는 식재후 사후관리(물을 제대로 주거나 T/R율 조절을 잘못하여 수분부족에 의해 고사하였을 경우 등이 있으며, 어떤 요인에 의해 고사하였는지는 사진상으로 판단하기 곤란합니다.
- 네 번째는 식재지 토양에 의한 지위적인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며, 특히 성토된 토양이 식양토인 곳에 나무가 식재될 경우 관수한 물이 배수불량으로 빠지지 못해 뿌리가 썩는 경우 등이 있어 수목전체가 고사하는 경우도 있으며,

2. 이 수종들의 집단 고사와 비슷한 다른 사례들의 원인이 무엇이었을까요?
A. 작은 나무들의 산지 조림시 관수 등을 할 수 없는 경사가 급한 지역에 위치에 있어 집단 고사하거나, 산불지역에 나무를 심었는데 잿물이 흘러들어 고사하는 사례가 일부 확인되기도 합니다.

2. 왜 일부 부분 나무들만 집단으로 고사하였을까요?
A. 현장을 확인하지 못하여 정확하게 답변드리지 못하지만, 아마도 같은 시기에 식재하였다면, 앞에 언급한 바와 같이 수종의 특성과 토양인자 및 이식기술 등이 고사원인에 가장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3.이 고사문제를 해결하려면 앞으로 어떤 식으로 보완해야 할까요?
A. 식재전 관련 분야 전문가의 조언을 청취하거나 현장점검을 통하여 지역에 알맞은 수종의 선택과 나아가 식재지 토양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수목이식에 대한 자문을 구하는 것이 활착율을 높이는 방안으로 사료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밖에 답변에 관해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식물클리닉센타(031-540-2080)로 연락주시면 자세히 안내 설명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